본문 바로가기

2024년 5월 이더리움ETF 승인, 알트코인 상승장의 신호탄이 될까

SEO아레나 2024. 3. 17.

지난 시즌에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투자했던 사람들은 기억하겠지만,

본격적인 알트장은 비트가 쭉 오르는 비트장 이후에 이더리움이 비트보다 크게 상승하면서 미친듯한 알트 불장이 왔다.

 

리플이 승소해서 떡상한다느니,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날거라는 떡밥은 오랫동안 쓰여왔다.

지겨울 정도로 우려먹는 소재라 그런가, 사실 올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실제로 승인된 건 의외였다.

또 이걸 소재로 끌어올렸다가 하락주는 패턴이겠구나, 싶었는데 이번엔 진짜였다.

기관의 자금이 들어오니 예상보다 크게 조정없이 쭉 올랐다.

2021 전고점을 돌파하고 조정받는 비트코인 : 1억 근처
2021 전고점 아래에서 조정받는 이더리움 : 520만원 근처

 

 

2024년 3월 17일, 비트코인 1개 9600만원.

기술적으로는 조정이 와도 이상하지 않은 자리.

지금의 조정이 더 길어질 수 있지만 단기적인 흐름에 대응할 생각은 없다.

조정 이후엔 어떤 흐름이 전개될까.

 

 

본격적인 알트장은 이더리움의 상승부터다

 

2024년 5월,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될 수 있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누구나 아는 소식이 돈이 되겠냐’ 하는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지만

비트 ETF가 승인됐을 때처럼 실제로 이더리움도 승인이 되고 기관 자금이 들어오면

비트의 상승보다 이더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지난 시즌의 알트 불장이 올 수도 있다고 본다.

 

 

미친 알트 불장은 마지막이 아닐까

 

가상화폐가 점점 제도권으로 들어오면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스캠 프로젝트가 인증 받은 거래소에 상장하는 일이 점점 힘들어진다는 얘기.

사기꾼이 많은 만큼 미친듯한 상승과 하락도 많고, 그만큼 많은 부자가 탄생하면서 돈을 잃는 사람도 많다.

 

여전히 불신이 많은 이 시장.

코인 투자를 한다고 하면 ‘ㅉㅉ’ 혀를 차는 사람들이 많은 시기이기에 투자의 기회가 여전히 남아있다.

모두가 확신하는 곳에서는 삼성전자 주식에 투자하는 정도의 수익이 날 테니까.

 

알트 불장이 올 거라고 보고 있지만, 이 바닥에서 무조건 확신을 가지는 건 정말 위험하다.

100% 확신한다면 모든 자산을 몰빵하겠지만, 그 정도의 확신과 용기는 없기에.

손실이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투자를 하고 있다.

많이 상승하면 좀 아쉽긴 하겠지만, 살아남아야 또 다른 투자 기회를 볼 수 있기에, 무리하지 않으려 한다.

 

5월에 이더리움 ETF 승인이 나면,

지난 불장에 그러했듯이 비트장 이후에 비트에 들어온 자금이 알트로 흘러들어가면서 알트장이 오는 시기가 딱 맞긴 하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하지만, 예상대로 ETF 승인이 바로 날 지는 의문이다.

이더 ETF 승인이 연기되면, 꽤나 큰 조정이 나오지 않을까. 

 

 

2024 비트코인 전고점 돌파, 불장의 끝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피눈물을 흘릴거다

 

2024 비트코인 전고점 돌파, 불장의 끝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피눈물을 흘릴거다

비트코인 1개 1억, 이번 시즌을 준비하며 우스갯소리로 ‘비트코인 1억 가즈아’하던 게 이제 우스갯소리가 아니게 되었다. 2021년 말, 지난 시즌 불장의 8천만원 고점을 넘어 1억을 바라보고 있다

seoarenakr.com

바이낸스 상장 펌핑을 외치는 알트코인들, 누구나 그럴듯한 계획은 있다

 

바이낸스 상장 펌핑을 외치는 알트코인들, 누구나 그럴듯한 계획은 있다

이론적으로는, 냉정한 머리로는 삼성전자와 같은 우량한 주식을 사서 모으는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마음은 코스닥 잡주에 가는 경우가 많다. 매수를 할 때는 다들 상승을 보고 산다. 하락

seoarenakr.com

2024 바이낸스 런치패드 코인 4개를 주목하는 이유 : ARKM, ID, EDU, HOOK

 

2024 바이낸스 런치패드 코인 4개를 주목하는 이유 : ARKM, ID, EDU, HOOK

국내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만 이용하는 분들은 바이낸스라는 거래소 자체가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 해외 거래소가 다양하지만, 위험성이 큰 것도 사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어떤 분야에서

seoarenakr.com

 

댓글